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가세] 더존 수기(종이)세금계산서 반영하기

by 윈스토리 주인 노사원 2023. 7. 2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세신고 과정 중

수기(종이) 세금계산서를 반영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기세금계산서 반영하는 방법은 아주 아주 간단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


수기(종이)세금계산서 반영하기

1. 매출 수기(종이)세금계산서

 

수기(종이)세금계산서

수기(종이)세금계산서를 받은 후에 먼저

내가 받은 자료가 매출인지 매입인지

검토하셔야 해요!

 

간혹 거래처 사장님들께서 매출과 매입을 혼동하여

자료를 보내주실 때가 있는데

매출 세금계산서라면 공급자에 거래처의 상호가

적혀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더존] - 회계 - 재무회계 - <전표관리> 빠른부가세입력

 

[위하고] - 회계 - 전표관리/자동전표관리 - 매입매출전표입력

 

 

[더존] 빠른부가세 입력 기준 설명

 

일자에서 해당 부가세 신고할 기간의 월을 입력 후

수기세금계산서에 적힌 대로 입력을 해줍니다.

 

[더존] 빠른부가세 입력

 

①날짜 입력 후 매출은 11. 과세 선택!

품명, 공급가액 칸엔 해당 계산서에 적힌 그대로 입력합니다.

부가세 칸엔 공급가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10% 계산된 금액이 입력됩니다.

거래처 코드 칸에서 +키를 누르면 코드 쪽에 0000이라는 숫자가 생기면서

거래처명 칸으로 넘어가는데 여기서 사업자번호를 입력합니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래처인 경우 그대로 반영해 주고

등록이 안된 거래처는 신규로 등록해 줍니다.

전자세금 칸엔 전자세금계산서가 아니기 때문에

0을 입력하여 공란으로 만들어 줍니다. (전자입력의 경우 1)

분개 칸0. 분개없음 1. 현금 2. 외상 3. 혼합 4. 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해 줍니다.

 

2. 매입 수기(종이)세금계산서

 

매입 세금계산서라면 공급받는자에 거래처의 상호가

적혀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더존 - 회계 - 재무회계 - <전표관리> 빠른부가세입력

위하고 - 회계 - 전표관리/자동전표관리 - 매입매출전표입력

 

일자에서 해당 부가세 신고할 기간의 월을 입력 후

수기세금계산서에 적힌 대로 입력을 해줍니다.

 

[더존] 빠른부가세 입력

 

①날짜 입력 후 매출은 51. 과세 선택!

나머지 ②~⑤ 과정은 동일합니다.

 

 

 

 

 

아직 저도 세린이로서 업무 숙지를 위해 정리한 글이라

혹시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당 :)

더욱더 성장해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728x90
반응형